반응형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여러가지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사용하다 보면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VSCode의 설정을 초기화하면 처음 설치했을때와 동일한 환경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저는 유튜브 녹화를 위해 ClineAI를 설치하고 삭제하기를 반복하다 보니 MCP 설치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맥북에서 Visual Studio Code(VS Code)를 설정 파일까지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뉩니다
- 애플리케이션 제거
- 사용자 데이터 및 설정 파일 제거
아래 단계를 따라하시면 됩니다.
1단계: Visual Studio Code 애플리케이션 제거
- Finder 열기: Dock 또는 Spotlight 검색(Command + Space)을 통해 Finder를 엽니다.
- 응용 프로그램 폴더로 이동: Finder 사이드바에서 "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s) 폴더를 클릭합니다.
- VS Code 아이콘 이동: "Visual Studio Code"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찾아 휴지통으로 드래그하거나, 아이콘을 선택한 후 Command + Delete 키를 누릅니다.
- 휴지통 비우기: Dock에 있는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한 다음, "비우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Finder 메뉴에서 "Finder" > "휴지통 비우기"를 선택합니다.
2단계: 사용자 데이터 및 설정 파일 제거
VS Code는 애플리케이션 자체 외에도 사용자 설정, 확장 프로그램, 캐시 등을 저장하는 숨겨진 파일과 폴더들을 생성합니다. 이들을 제거해야 완전히 삭제됩니다.
- Finder 열기: (이미 열려 있다면 다시 열 필요 없음)
- '폴더로 이동' 열기: Finder 상단 메뉴 바에서 "이동"을 클릭한 후, "폴더로 이동..." (Go to Folder...)을 선택합니다. 또는 단축키 Shift + Command + G를 눌러도 됩니다.
- 각 경로 입력 및 삭제: 아래 경로들을 하나씩 입력하여 해당 폴더나 파일을 찾아 휴지통으로 이동합니다.
- 주요 설정 및 확장 프로그램 데이터:
- ~/Library/Application Support/Code
- 이 경로를 입력하고 이동하면 Code라는 폴더가 보일 것입니다. 이 폴더 전체를 휴지통으로 드래그합니다.
- 캐시 파일:
- ~/Library/Caches/com.microsoft.VSCode
- ~/Library/Caches/com.microsoft.VSCode.ShipIt
- 각각의 경로를 입력하여 해당 폴더나 파일을 찾아 휴지통으로 드래그합니다.
- 환경 설정 파일 (plist):
- ~/Library/Preferences/com.microsoft.VSCode.plist
- 이 파일을 찾아 휴지통으로 드래그합니다.
-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상태:
- ~/Library/Saved Application State/com.microsoft.VSCode.savedState
- 이 폴더를 찾아 휴지통으로 드래그합니다.
- 사용자별 설정 (숨김 폴더):
- ~/.vscode
- 이 폴더는 숨겨져 있을 수 있습니다. '폴더로 이동'에서 입력하거나, Finder에서 Command + Shift + . (마침표)를 눌러 숨김 파일을 보이게 한 후 홈 디렉토리(~)에서 찾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설정 및 확장 프로그램 데이터:
- 휴지통 비우기: 2단계에서 삭제한 파일들이 휴지통에 있으므로, 다시 한번 Dock에 있는 휴지통을 비워 완전히 삭제합니다.
3단계: Dock에서 아이콘 제거 (선택 사항)
만약 Visual Studio Code 애플리케이션을 Dock에 고정해 두었다면,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더라도 아이콘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 Dock에서 Visual Studio Code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옵션" (Options) > "Dock에서 제거" (Remove from Dock)를 선택합니다.
위 단계를 모두 완료하면 맥북에서 Visual Studio Code 및 관련 설정 파일들이 완전히 제거됩니다.
반응형
'개발툴(IDE, Mac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북에서 SSH .ssh/config 파일을 활용하여 여러 서버에 별칭(Alias)으로 접속하기 (AWS, Github등) (4) | 2025.07.06 |
---|---|
Github Desktop - 사용법 #2 (0) | 2022.10.30 |
M1 맥북 터미널 기본 Prompt 설정 변경하기 (0) | 2022.03.01 |
M1 맥북 기본쉘 zsh로 변경하기 (0) | 2022.02.28 |
맥용 무료 FTP 프로그램 - CyberDuck 설치 및 접속 방법 (2) | 2022.01.09 |
M1 맥북프로 초기화하기 (0) | 2021.12.30 |
맥북프로M1에 Java 설치하기 (openjdk) (0) | 2021.12.26 |
Github Desktop 5분컷 - Git 개념 & 사용법 (1)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