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음은 이 글의 영상 버전입니다.

https://youtu.be/5SlcbnUpkIw

 

이 글은 개발자의 길을 막 시작하셨거나, 새롭게 가시려는 분들을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개발자라는 직업을 갖기 전에 어떤 고민들을 해보아야 할지를 이야기 합니다.

 

1. 적성에 맞을까?

직업으로서의 개발자는 평생토록 매일 8시간씩 자리에 앉아 컴퓨터를 들여다 보아야 하는 일입니다. 이렇게 오랜 시간 일을 하려면 이것이 내 적성에 맞는가를 가장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자리에 진득하게 앉아 오래도록 코딩을 하더라도 일이 재미있게 느껴져야지만 개발자의 길을 갈 수 있습니다. 몇개월 공부하면서 이 일이 힘들게만 느껴진다면 다시 한번 진지하게 고민을 해보아야 합니다. 저는 오래도록 이 일을 했지만, 개발하는 것이 재미있다고 느껴져서 아직까지도 꾸준히 이 일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한발 더 나아가 이 일에 대한 애정과 열정이 있을때, 내가 이 일을 더 잘하기 위한 시간을 투자하게 되고, 그럴때 더 일을 잘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다음은 어떤 책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어떤 일을 잘 하기 위한 진리라고 할 수 있죠.

 

영화속 해커는 키보드를 몇번 두드리면 마법의 문이 열리는 듯한 일들이 일어나곤 합니다. 하지만 현실속의 개발자는 이것과는 거리가 멀죠.

개발자들이 매일 하는 것은 코딩, 테스트, 코딩, 테스트의 반복입니다. 심지어 개발하고 있는 것이 잘 풀리지 않아, 몇일 동안 골머리를 앓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어떻게든 해내야만 하는게 현실의 개발자입니다. 이런 끈기야 말로 개발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이기도 합니다.

 

개발자는 배움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직업입니다. 다시말해 평생을 배우고 또 배워야 합니다. 따라서 수동적인 배움이 아닌 열정을 가지고 배울 수 있어야만 이 일을 더 잘 해 낼 수 있습니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개발자는 매우 가치있고 멋진 일입니다. 무엇보다 일의 성취감이 높고, 많은 사람들과 잘 융합되어 질때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하며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직업입니다. 또 요즘은 개발자들에 대한 처우가 점점 좋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복지는 물론 연봉도 높은 일자리들이 많이 생기고 있고, 앞으로는 더욱 그럴 것입니다.

 

2. 비전공자도 개발자가 될 수 있나요?

당연합니다. 전공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력입니다. 하지만 그것만큼 중요한 것이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능력입니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누군가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선 소통이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한 인터뷰에서 스티브잡스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One of the keys to Apple is Apple's an incredibly collaborative company."

"애플의 핵심 요소중 하나는 애플이 놀랍도록 협력적인 회사라는 것이다."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회사 애플에서도 협력을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고 말합니다.

 

개발자는 개발팀에 소속되어서 동료들과 호흡을 맞춰 일합니다. 또 기획자, 디자이너들과도 긴밀하게 협력을 해야지만 제대로 된 품질의 아웃풋을 만들 수 있습니다. 거기에 사용자를 고려하고 마케팅적인 부분도 생각을 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팀들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해야만 합니다.

 

3. 관객이 아닌 플레이어

요즘은 유튜브를 통해 개발을 배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좋은 컨텐츠도 많고 그 만큼 예전에 비해 개발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동영상으로 개발을 배울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눈으로 코딩을 하는 것이 아닌, 손으로 코딩을 하도록 해야합니다. 우리가 많은 축구 경기를 봄으로써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는 있지만, 실제로 자신이 축구장에 가서 공을 차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영상을 통해 코딩을 배우더라도 반드시 자신의 손으로 직접 코딩을 해보고, 자신의 부족한 것들을 꾸준히 채워가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4. 기술보다는 미션이 중요

배달의 민족은 음식점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앱을 만들었습니다. 초기 배달의 민족은 길에서 전단지를 주워 전화를 통해 연결해 주는 것 부터 시작을 했습니다. 그 후에 시스템을 만들어 자동화 시켰습니다. 이것은 어떤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단순 개발 기술만으로는 의미있는 변화가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을 고민하고, 연구하여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5. 프로젝트를 통해서 배우기

기술적인 것을 배우는 데 그치지 말고, 그것들을 활용해서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기술을 가장 빨리 배울 수 있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는 곧 실전이기 때문에 훨씬 더 복잡한 기술적인 문제들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이런 어려움들을 극복하는 것이 실전 감각을 키우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프로젝트는 혼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많은 인원이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 혼자가 아닌 프로젝트에서는 협력하는 법도 자연스레 배울 기회를 얻게 됩니다.

 

6. 과정을 행복하게

똑같은 길을 가더라도 주변 사람들과 같이 웃으며 가는 사람이 있고, 먼저 가려고 다툼을 일으키는 사람이 있습니다. 결과가 모든 과정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에머슨이라는 작가는 "무엇이 성공인가"라는 글을 통해 성공을 다음과 같이 표현 했습니다.

성공은 큰 일을 이뤄내는 것보다,

주변 사람들과 행복하게 지내는것,

자기일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것,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는 삶을 사는 것을 통해 만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고민하고 잘 기억하셔서 여러분의 도전이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