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의 유튜브 영상 링크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Xurwjs307s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다 보면 기록으로 남겨 놓고 싶은 영상들이 있습니다.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면 이런 과정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구성 요소

이 자동화는 Cline, MCP, Gemini, Obsidian을 활용하여 이루어집니다.

 

구성 요소 설치

  1. Cline: Visual Studio Code의 확장 프로그램으로, 플러그인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LLM 연동: Cline에 Gemini와 같은 다양한 LLM(Large Language Model)을 연동합니다.
  3. MCP Server 설치: Cline에 MCP Server를 설치하여 AI Agent 환경을 구성합니다.
  4. YouTube Subtitles MCP 설치: 유튜브 스크립트를 가져오기 위해 MCP에서 YouTube Subtitles 도구를 설치합니다.

자동화 작동 방식


사용 환경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AI가 스스로 어떤 도구들을 활용할지 판단하여 요청을 수행합니다.

* AI Agent: 기존 AI Workflow와 달리, AI Agent는 AI가 스스로 처리 방식을 판단하여 유연하게 작업을 수행합니다.
* 자동 처리: 유튜브 링크와 간단한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AI Agent가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 결과 저장: 처리된 결과는 Cline이 Markdown 파일로 생성하여 Obsidian에 저장합니다. 모든 과정이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사용 예시


"코딩 없이 웹사이트 개발하기 v0.dev"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YxEZkQi3M5w)을 예시로 자동화 과정을 설명합니다.

 

프롬프트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YxEZkQi3M5w 
이 영상의 내용을 Markdown 문법으로 정리해서 
0.Inbox 폴더에 "코딩없이 웹사이트 개발하기 v0.dev"란 제목으로 저장해줘. 
문서 제일 상단에는 youtube link도 넣어줘.



처리 과정:

  1. 프로젝트 열기: VSCode에서 폴더 열기를 선택한 후 Obsidian 최상위 폴더를 선택합니다.
  2. 도구 활용 판단: AI가 YouTube Subtitles MCP Server의 `download_youtube_url` 도구를 사용한다고 판단하고 승인을 요청합니다.
  3. 자막 추출: 승인 후, YouTube에서 자막이 응답으로 옵니다.
  4. 문서 생성: 마지막으로 AI가 내용을 정리하여 Markdown 문서를 생성하고 Obsidian에 저장합니다.

 

 


생성된 문서 내용 (예시):

코딩 없이 웹사이트 개발하기 v0.dev

YouTube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xEZkQi3M5w

영상 요약

이 영상은 AI를 활용하여 코딩 없이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방법, 특히 Vercel의 V0.dev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1. 바이브 코딩 (Vibe Coding) 이란?

* 정의: 키보드로 직접 코드를 입력하는 대신, 특정 분위기나 느낌을 가진 화면을 자연어로 요청하여 AI가 이를 해석하고 코드를 생성하는 개발 방식입니다.
* 장점:
* 개발 지식이 부족해도 개발이 가능합니다.
* 기술적인 측면보다 핵심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기획-디자인-개발의 전통적인 방식 대신, 프롬프트 입력만으로 AI가 적절한 기술과 디자인 트렌드를 적용하여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2. V0.dev 소개

* 개발사: Next.js 프레임워크를 만든 Vercel에서 개발했습니다.
* 특징:
* Next.js 프레임워크 기반의 코드 생성 AI로, UI 개발에 강점을 가집니다.
* 높은 코드 품질과 디자인 완성도를 자랑하여 실제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 개발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습니다.
* 백엔드 개발자가 프론트엔드 지식이 부족해도 풀스텝 개발 및 서비스 런칭이 가능합니다.
* 에러 발생 시, 에러 코드를 입력하면 AI가 분석하여 코드를 수정해줍니다.

3. V0.dev 사용 예시 (테크 블로그 사이트 제작)

* 목표: 현대적인 디자인의 프로그래밍 테크 블로그 사이트 제작.
* 프롬프트 예시: "현대적인 디자인의 프로그래밍 테크 블로그를 만들어줘. 상단에 Hardyshop 섹션을 만들고, 그 아래에 최신 글을 이미지와 요약과 함께 그리드 형식으로 보여줘. 사이드바에 카테고리와 뉴스레터 구독 폼을 추가해줘."
* 제작 과정:
1. V0.dev 사이트 접속 후, `Projects`에서 `Create new project` 클릭.
2. `Create Blog Site` 버튼 클릭 후, 준비된 프롬프트 복사/붙여넣기.
3. AI가 프롬프트를 해석하여 코드를 생성 (약 2~3분 소요).
4. 생성된 사이트는 헤더, 로고 내비게이션, 검색 기능, 핫 이슈 섹션, 최신 글 그리드, 사이드바 등으로 구성되며, Shad CN UI 컴포넌트, 반응형 디자인, 호버 효과, 일관된 색상 구성 등이 적용됩니다.
5. 생성된 코드는 `page.tsx`를 메인으로 컴포넌트 단위로 잘 분리되어 있습니다.
* 추가 기능 적용:
* 다크 모드 추가 (예: `darklight mode toggle feature` 구현 요청).
* V0.dev 내에서 바로 배포 및 서비스 런칭이 가능합니다.

4. 향후 학습 내용

* V0.dev에서 생성된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로컬 실행 방법.
* 백엔드 API 연결 방법.
* AWS 등 실제 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 설정 방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