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youtu.be/JCSiz_jgioM

 


요구 사항 문서 작성

 

지난 포스트 AI로 풀스택 개발하기:프론트엔드 개발에서 AI 개발 관련된 부분은 이미 설명을 했습니다.

다른 부분은 프레임워크, Database 연동 등이 다르므로 requirement.md를 그에 맞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requirement.md 예시

### 1. **개발 목적 및 대상 사용자**
- **사이트 목적:** 이 사이트는 codegear.info의 backend API 서비스를 담당한다

### 2. **프레임워크**
- Node.js 기반 프레임워크인 **Nest.js**를 사용한다.
- Database는 **MySQL**을 사용한다.
- Nest.js에서 ORM은 **TypeORM**을 사용한다.

### 3. **아키텍처 요구사항**
- **Swagger** 를 사용해서 API 테스트를 용이하게 한다.
- **컴포넌트**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것.
- **에러 핸들링:** API 에러 발생 시 어떻게 HTTP 상태 코드와 에러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 `{ "statusCode": 400, "message": "Bad Request" }`)
- **인증 및 인가:** Admin 사용자의 로그인 방식은 구글 로그인을 사용한다. 구글 로그인은 백엔드와 프론트에서 처리해야 할 부분을 나누어 처리하도록 한다. JWT 토큰 방식을 사용한다. Role은 normal 과  admin 두개만 사용한다.
- **배포 환경:** 로컬에서 개발 밑 테스트 후 운영 환경에 배포한다.

### 4. **구현계획**
- 한번에 사이트를 완성하지 말고, **단계별 계획**을 세워서 만들것.
- **plan.md**에 계획 내용을 작성해서 저장해서 실제 구현시 사용할것.
- **버전 관리:** Git을 사용하고 github의 repository를 사용한다.

### 5. **언어**
- 답변은 한국어로 할것

 

이걸 옵시디언 같은 에디터로 열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구현

지난번 프론트엔드 개발시 가장 좋은 성적을 보인 클로드 코드를 사용하여 진행하겠습니다.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은 폴더 구조를 갖습니다.

backend 폴더에 위에서 작성한 requirement.md 파일을 복사합니다.

 

 

순서

  • VSCode를 실행합니다.
  • 폴더 열기에서 backend 폴더를 선택합니다.
  • `Run Claude Code` 버튼을 클릭합니다.
  • 프롬프트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requirement.md 를 읽고 프로젝트 생성 및 코드 구현을 해줘

 


테스트

  • 프로젝트 패키지 설치하기
yarn install
  • 프로젝트 빌드하기
yarn build
  • .env에 Database 연결 설정을 추가합니다.
# Database
DB_HOST="DB호스트명 또는 URL"
DB_PORT=3306
DB_USERNAME="DB 유저"
DB_PASSWORD="DB 패스워드"
DB_DATABASE="DATABASE명"
  • 로컬에서 서버를 실행합니다.
yarn start:dev
  • 서버가 정상적으로 start가 되면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3000" 을 입력합니다.

  • 요청사항에 "Swagger를 사용해서 API 테스트를 용이하게 한다" 라는 내용이 있었으므로 확인을 합니다.
  • 브라우저에 "http://localhost:3000/api-docs"를 입력합니다.

  • Swagger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제일 첫번째에 있는 API 상태 확인을 클릭하고 "Try it out" 버튼을 클릭합니다.

  • "Excute"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이렇게 백엔드 서버 개발과 테스트까지 완료되었습니다.

 


Next

다음시간에는,
구글 로그인을 추가하기 위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동시에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은 TypeORM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다음은 이 글을 설명한 유튜브 영상입니다.

https://youtu.be/IfcnR7TtbCw

목차

  • table 생성
  • 소스 생성
  • 사용법

테이블 생성

다음과 같이 cats table을 생성합니다.

create table cat
(
    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name  varchar(255) not null comment '고양이 이름',
    age   int          not null comment '고양이 나이',
    breed varchar(255) not null comment '고양이 종류'
);

소스 생성

  • Nestjs의 Generator(소스 자동 생성)를 사용하여 cats module을 생성합니다.
nest g resource cats
  • resource 옵션은 module, controller, service, entities, dto를 한 번에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Entity 객체 생성

  • domain/cats.entity.ts
import { Column, Entity,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Entity()
export class Cat {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
    name: string;

    @Column()
    age: number;

    @Column()
    breed: string;
}

DTO 수정

  • cats/dto/create-cat.dto.ts 를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export class CreateCatDto {
    name: string;
    age: number;
    breed: string;
}

모듈에 Entity 임포트

  • cats/cats.module.ts에 cats.entity를 임포트 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CatsService } from './cats.service';
import { CatsController } from './cats.controller';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Cat } from 'src/domain/cat.entity';

@Module({
  imports: [TypeOrmModule.forFeature([Cat])],
  controllers: [CatsController],
  providers: [CatsService]
})
export class CatsModule {}

서비스에서 Repository 사용하기

cats service에서 constructor에 repository를 주입합니다.

  • cats/cats.service.ts
constructor(
  @InjectRepository(Cat)
  private catRepository: Repository<Cat>
){}
  • cats/cats.service.t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async create(createCatDto: CreateCatDto) {
  return await this.catRepository.save(createCatDto);
}

async findOne(id: number) {
  return await this.catRepository.findOne({where: {id}});
}

async update(id: number, updateCatDto: UpdateCatDto) {
  const cat = await this.findOne(id);
  if(!cat){
    throw new Error('cat not found');
  }
  Object.assign(cat, updateCatDto);
  return await this.catRepository.save(cat);
}

async remove(id: number) {
  const cat = await this.findOne(id);
  if(!cat){
    throw new Error('cat not found');
  }
  return await this.catRepository.remove(cat);
}

테스트

포스트맨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합니다.

  • 생성
    • POST http://localhost:3000/cats
    • Data는 다음과 같습니다.
{
    "name": "엄지",
    "age": 7,
    "breed": "스코티시폴드"
}

  • 전체 목록 조회
    • GET http://localhost:3000/cats

  • 아이디로 조회
    • GET http://localhost:3000/cats/1

  • 업데이트
    • PATCH http://localhost:3000/cats/1
    • Data
{
    "name": "엄지양이",
    "age": 5,
    "breed": "스코티시폴드"
}

  •  삭제
    • DELETE http://localhost:3000/cats/2

이상으로 TypeORM에서 CRUD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은 TypeORM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샘플 소스를 통해 TypeORM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글의 동영상 강의를 보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s://youtu.be/yzsN620ZYpw

목차

  • ORM(TypeORM) 개념
  • ORM(TypeORM)의 장단점
  • TypeORM 셋팅하기

 

ORM(TypeORM) 개념

  • TypeORM = "Typescript + ORM"을 의미합니다. 즉, typescript에서 orm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레임워크입니다.
  • ORM은 Object-Relational Mapping의 약자입니다. 
  • Object = 객체지향언어에서 말하는 객체(Object)를 의미합니다.
  • Relational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를 의미합니다.
  • 즉,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맵핑 시켜주는 기술을 ORM이라고 합니다.
  • ORM을 사용하면 DB의 종류에 상관없이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즉, MySQL, PostgreSQL, Oracle등 어떤 Database를 사용하더라도 동일 코드로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입니다.
  • 결론 : TypeORM은 Typescript에서 사용하는 ORM 프레임워크입니다.

ORM(TypeORM)의 장단점

  • Database의 쿼리문을 사용하는 대신, 기존과 유사한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 독립적인 코드를 사용하므로 재사용성이 증가한다.
  • DBMS에 종속적인 쿼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DB 변경이 용이하다.
  • 테이블간의 관계가 복잡해지고 쿼리가 복잡해질 수록 구현이 어렵다.
  • 쿼리를 많이 사용해본 사람일 경우, 쿼리를 사용했을때 보다 직관성이 떨어진다.

TypeORM 셋팅하기

  • Nestjs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nest new typeorm2023
  • TypeORM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pm install --save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 root 폴더에 orm.config.ts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import { TypeOrmModuleOptions } from "@nestjs/typeorm";

function ormConfig(): TypeOrmModuleOptions {
    const commonConf = {
        SYNCRONIZE: false,
        ENTITIES: [__dirname + '/domain/*{.ts,.js}'],
        MIGRATIONS: [__dirname + '/migrations/**/*{.ts,.js}'],
        MIGRATIONS_RUN: false,
    };

    return {
        name: 'default',
        type: 'mysql',
        database: 'test',
        host: 'localhost',
        port: Number(3306),
        username: 'root',
        password: 'root',
        logging: true,
        synchronize: commonConf.SYNCRONIZE,
        entities: commonConf.ENTITIES,
        migrations: commonConf.MIGRATIONS,
        migrationsRun: commonConf.MIGRATIONS_RUN,
    };
}

export { ormConfig };
  • 세부사항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SYNCRONIZE는 객체와 테이블을 동기화 할때 사용합니다. 즉, 객체가 변경되면 테이블에 자동 반영이 되고, 테이블이 변경되면 객체가 자동 변경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운영서버에서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운영중인 데이터는 용량이 크고, 이런 변화가 있을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만약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 기능을 "false"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ENTITIES는 객체가 위치하는 폴더를 의미합니다. 즉, 테이블의 schema를 객체로 만들어 저장하는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입니다.

 

셋팅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최상위 모듈에 ormConfig를 추가해 줌으로써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 app.module.ts에 ormConfig를 추가합니다.
import { ormConfig } from './orm.config';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RootAsync({ useFactory: ormConfig }),
    ...
  ],
  ...
})

다음은 TypeORM 기초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동영상 강좌

https://youtu.be/P9fvgGHd_Jg

Backend의 Nestjs에서 Database(MySQL)를 연결하기 위해 TypeORM을 설정해봅니다.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MySQL Schema와 User 생성

MySQL Workbench를 이용해서 Schema와 User를 생성합니다.

- Schema : slider

- User : slider

- Password : 1234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degear.tistory.com/32

 

데이터베이스기초-02.MySQL-Schema, User, Table 생성하기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hOOiqk8Z1gQ MySQL Workbench를 이용하여 가장 기본적인 Schema와 User를 생성하고, User에게 Schema의 권한을 주는법과, Schema에 Table을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겠..

codegear.tistory.com

 

패키지 설치

TypeORM과 MySQL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arn add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TypeORM 설정

/src/orm.config.ts 파일을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

import { TypeOrmModuleOptions } from '@nestjs/typeorm';

function ormConfig(): TypeOrmModuleOptions {
  const commonConf = {
    SYNCRONIZE: false,
    ENTITIES: [__dirname + '/domain/*.entity{.ts,.js}'],
    MIGRATIONS: [__dirname + '/migrations/**/*{.ts,.js}'],
    MIGRATIONS_RUN: false,
  };

  return {
    name: 'default',
    type: 'mysql',
    database: process.env.DB_NAME,
    host: process.env.DB_HOST,
    port: Number(process.env.DB_PORT),
    username: process.env.DB_USER,
    password: process.env.DB_PASS,
    logging: true,
    synchronize: commonConf.SYNCRONIZE,
    entities: commonConf.ENTITIES,
    migrations: commonConf.MIGRATIONS,
    migrationsRun: commonConf.MIGRATIONS_RUN,
  };
}

export { ormConfig };

 

Main Module에 typeorm config 설정 추가

/src/app.module.ts에서 @Module -> imports 아래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
import { TypeOrmModule } from '@nestjs/typeorm';
import { ormConfig } from './orm.config';

@Module({
    imports: [
    	TypeOrmModule.forRootAsync({ useFactory: ormConfig }),
    ]
....

 

환경 설정 파일(.env) 생성

orm.config.ts에서 process.env.DB_NAME과 같은 형태로 환경변수를 참조하도록 했습니다.

/.env 파일을 아래와 같이 생성합니다.(.env는 dotenv라고 읽습니다.)

NODE_ENV=local
DB_HOST=localhost
DB_PORT=3306
DB_USER=slider
DB_PASS=1234
DB_NAME=slider

- local db에 설정한데로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nestjs/config 모듈 추가

.env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otenv모듈이 필요합니다.
nestjs에서는 @nestjs/config 모듈을 설치하면 dotenv모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합니다.

yarn add @nestjs/config

아래와 같이 main module에 ConfigModule 관련 설정을 추가합니다.

/src/app.module.ts

import { ConfigModule } from '@nestjs/config';
...

@Module({
  imports: [
    ConfigModule.forRoot({
      isGlobal: true
    }),
    ....]
...

 

로그 확인

이제 application을 실행해봅니다.

yarn start

application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아래와 같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Entity 생성

위에서 typeorm 설정 파일의 entity 파일 위치를 아래와 같이 설정했습니다.

ENTITIES: [__dirname + '/domain/*.entity{.ts,.js}'],

따라서 src/domain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entity 파일들을 만들면 됩니다.

 

/src/domain/user.entity.ts 를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import { Column, Entity, PrimaryGeneratedColumn, OneToMany } from 'typeorm';
import {UserAuthority} from "./user-authority.entity";

@Entity('user', { schema: 'slider' })
export class User {
    @PrimaryGeneratedColumn({ type: 'int', name: 'id' })
    id: number;

    @Column('varchar', { name: 'kakao_id', length: 45 })
    kakaoId: string;

    @Column('varchar', { name: 'email', length: 100 })
    email: string;

    @Column('varchar', { name: 'name', nullable: true, length: 45 })
    name: string | null;

    @Column('varchar', { name: 'gender', length: 10 })
    gender: string;

    @Column('varchar', { name: 'phone', length: 20 })
    phone: string;

    @Column('varchar', { name: 'birth', length: 10 })
    birth: string;

    @Column('varchar', { name: 'profile_image', nullable: true, length: 200 })
    profileImage: string | null;

    @Column('timestamp', {
        name: 'created_at',
        nullable: true,
        default: () => 'CURRENT_TIMESTAMP',
    })
    createdAt: Date | null;

    @Column('timestamp', {
        name: 'updated_at',
        nullable: true,
        default: () => 'CURRENT_TIMESTAMP',
    })
    updatedAt: Date | null;

    @OneToMany(() => UserAuthority, (userAuthority) => userAuthority.user, {
        eager: true,
    })
    authorities?: any[];
}

/src/domain/user-authority.entity.ts를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import {
  Column,
  Entity,
  JoinColumn,
  ManyToOne,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import { User } from './user.entity';

@Entity('user_authority')
export class UserAuthority {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int', { name: 'user_id' })
  userId: number;

  @Column('varchar',{name: 'authority_name'})
  authorityName: string;

  @ManyToOne(() => User, (user) => user.authorities)
  @JoinColumn({ name: 'user_id', referencedColumnName: 'id' })
  user: User;
}

 

테이블 자동 생성

orm.config.ts 파일에서 syncronize를 true로 변경합니다.

SYNCRONIZE: true,

 

Application을 실행합니다.

yarn start

MySQL에 테이블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TypeORM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렉트론 MySQL 연동

일렉트론에서 MySQL을 연동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것을 배워봅니다.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3EqAud7cBGY

Database와 Data 생성

MySQL Workbench를 실행합니다.

아래 쿼리로 스키마를 생성합니다.

 

CREATE SCHEMA test;

사용자를 생성하고 권한을 설정합니다.

CREATE USER 'test'@'localhost'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test';
GRANT ALL PRIVILEGES ON test.* TO 'test'@'localhost';
flush privileges;

Workbench에서 Connection을 추가합니다.

New Connection

설정한 Connection으로 접속합니다.

Connection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CREATE TABLE IF NOT EXISTS `test`.`user` (
  `id` INT NOT NULL AUTO_INCREMENT,
  `userid` VARCHAR(50) NULL,
  `username` VARCHAR(50) NULL,
  PRIMARY KEY (`id`))
ENGINE = InnoDB;

아래와 같이 생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insert into test.user(userid, username) values ('codegear', '코드기어');
insert into test.user(userid, username) values ('ironman', '아이언맨');
insert into test.user(userid, username) values ('spiderman', '스파이더맨');

data 확인

일렉트론 Appllication 만들기

다음 스크립트로 일렉트론 Application을 만듭니다.

npx create-electron-app electron-mysql

mysql 사용을 위해 'mysql'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pm i mysql

src/index.html을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Content-Security-Policy" content="script-src 'self';">
    <title>Hello World!</title>
    <link rel="stylesheet" href="index.css">
  </head>
  <body>
    <h1>💖 Hello World!</h1>
    <p>Welcome to your Electron application.</p>
    <input type="button" id="btn" value="connectToMysql"/>
    <div id='users'></div>
    <script src='./function.js'></script>
  </body>
</html>

src/function.js를 만들고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

const mysql = require('mysql');

function setInnerHTML(text) {
    const element = document.getElementById('users');
    element.innerHTML += '<div>'+text+'</div>';
  } 

document.getElementById("btn").addEventListener("click", ()=>{
    //ipc.send('getUsers');
    var connection = mysql.createConnection({
        host     : 'localhost',
        user     : 'test',
        password : 'test',
        database : 'test'
    });

    connection.connect();

    connection.query('SELECT * from USER', function (error, results, fields) {
        if (error) throw error;
        console.log('users: ', results);
        results.forEach(user => {
            setInnerHTML(user.username);
        });
    });

    connection.end();
})

application을 실행합니다.

npm start

"require is not defined"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quire is not defined

src/index.js의 createWindow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webPreferences: {
      nodeIntegration: true,
      contextIsolation : false
    }

const createWindow = () => {
  // Create the browser window.
  const mainWindow = new BrowserWindow({
    width: 800,
    height: 600,
    webPreferences: {
      nodeIntegration: true,
      contextIsolation : false
    }
  });

Application을 다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pleted!!!

반응형
반응형

MySQL 모델링 기초

이번시간은 인스타그램으로 모델링을 같이 진행합니다.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nEW9MsmEKF8

 

인스타그램은 아래와 같이 4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더 있을 수 있지만 나머지는 생략합니다.)

  • 작가(사용자)
  • 사진
  • 좋아요
  • 댓글

인스타

각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됩니다.

  • 1명의 사용자가 여러개의 사진을 올릴 수 있습니다.
  • 1개의 사진에는 여러명이 좋아요를 누를 수 있습니다.
  • 1개의 사진에는 여러명이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인스타 데이터 생성

실제 데이터가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 작가(사용자) 테이블에는 여러명의 사용자가 들어갑니다.
  • 사진 테이블에는 모든 사용자의 사진 정보가 들어갑니다.
  • 사진 테이블에는 사용자 한명의 여러 사진이 들어갑니다.
  • 좋아요에는 사진 아이디와 좋아요를 누른 사람의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 댓글에는 사진 아이디와 댓글을 작성한 사람의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데이터 예시

위의 정보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

테이블 설계

다음 시간에는 MySQL Workbench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Title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hOOiqk8Z1gQ

MySQL Workbench를 이용하여 가장 기본적인 Schema와 User를 생성하고, User에게 Schema의 권한을 주는법과, Schema에 Table을 생성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전글에서 설치한 MySQL Workbench를 실행합니다.

MySQL Workbench

root 계정으로 접속

  • MySQL Connections 아래 Local instance MySQL의 root 계정으로 설정되어 있는 부분을 클릭하여 MySQL에 접속합니다. 
    Local Instance root connection

Schema 생성

  • 상단 아이콘 중 Database Icon을 클릭합니다. 
    Create Schema Icon
  • Schema 이름을 입력하고,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Schema Info
  • 생성될 Schema의 review 화면이 나오면 확인 후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Schema Review
  • 다음창에서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Schema Appling

User 생성 및 Schema 권한 주기

  • 좌측 메뉴 중 Administration tab에서 "Users and Privileges"를 선택합니다.
    Left Administration Menu 
  • Add Account 버튼을 클릭합니다.
    Users and Privileges
     
  • Login Name과 Password를 입력한 후 상단 tab 메뉴 중 Schema Privileges를 클릭합니다.
    Input Login Name & Password


  • Schema Privileges에서 Add Entry를 클릭합니다.
    Click Add Entry
  • 앞에 생성한 test Schema에만 권한을 주기 위해 "Selected Schema"를 선택하고, 목록 중 "test"를 선택합니다.
    Select Schema
  • 해당 Schema의 전체 권한을 주기 위해 "Select All"을 클릭하고 "Apply"를 선택합니다.
    Click Select All

Connection 만들기

  • 홈화면으로 돌아와 MySQL Connections 옆의 +버튼을 클릭하여 Connection을 새로 만듭니다.
    New Connection
  • Connection 정보를 입력한 후 Test Connection을 클릭하여 확인합니다.
    Setup New Connection
  • 다음창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Enter password
  • "Successfully"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연결에 성공하신것입니다.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uccessfully connection
  • 다시 Setup 화면으로 돌아오면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Setup OK
  • Home 화면에 새로운 Connection이 나타납니다. 그 부분을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Connection created
  • 왼쪽 메뉴 하단의 Schema tab을 클릭하면 default schema가 test로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default schema

테이블 만들기

  • test schema 아래 Tables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클릭한 후 "Create Table"을 클릭합니다.
    Create Table

다음과 같이 테이블 정보를 입력합니다.
Table Name : user
Column : id(INT), username(VARCHAR(45)), password(VARCHAR(45))
입력 후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table

  • Table script를 확인 후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confirm create table script
  • test schema의 tables를 확장하면 생성한 tabl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able list
  • 테이블명 "user"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Select Rows - Limit 1000"을 클릭합니다.
    Select Rows
  • 다음과 같이 수행된 쿼리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uery & result

 

이상으로 MySQL에서 Schema 생성, User 생성과 권한 설정, Table 생성을 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Windows에 MySQL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yZtub4AbbAo

 

mysql download

  • 구글에서 mysql download for windows로 검색합니다.

google 검색

  • 검색 결과창에서 "Download MySQL Community Server"를 선택합니다.
    download mysql
     
  •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Go to Download Page" 버튼을 클릭합니다.
  • "Download" 버튼을 클릭합니다.
    Installer Download
  • 로그인 창에서 "No Thanks, just start my download."를 클릭합니다.
  • download 된 파일을 클릭하시면 설치가 시작 됩니다.
    \Installer start
  • "Developer Default" 선택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Setup Type 선택
  • Visual Studio Library 설치가 필요합니다.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설치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Visual Studio Library 설치
  • Download 화면에서 "Excute"를 클릭합니다.
    Download
  •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Status에 Error가 나올 경우 옆의 "Try again"을 클릭하여 다시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downloading
  • Download 완료 후 "Next" 버튼을 클릭하면 Install이 진행됩니다.
    Installation
  • Install이 완료되면 "Next" 버튼을 클릭하고 포트를 설정합니다.
    내용 변경없이 default로 설치하면 됩니다.
    port 설정
  •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root password 입력
  • Windows Service 명을 확인합니다.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Windows Service Name
  • 다음화면에서는 환경 설정 내용이 적용됩니다.
    Apply Configuration
  •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Router Configuration
  • Connect To Server에서 root password를 입력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Connect to Server
  • 설치가 완료되고 MySQL Workbench가 실행됩니다.
    "Local instance MySQL57"을 클릭합니다.
    Workbench


  •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password 입력
  • Local instance에 접속이 되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타납니다.
    Local instance 접속

    이상으로 MySQL 설치 및 Workbench 접속까지 진행을 해봤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