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의 동영상 강의

https://youtu.be/cN8y5AjE1ZY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액트에 카카오지도를 추가하는 코드를 만들어봅니다.

npx create-react-app kakaomap

프로젝트가 잘 실행되는지 확인해봅니다.

cd kakaomap
yarn start

Visual Studio를 실행합니다.

code .

index.html의 head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meta http-equiv="Content-Security-Policy" content="default-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script-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img-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meta http-equiv="X-Content-Security-Policy" content="default-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script-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img-src 'self' 'unsafe-inline' https://dapi.kakao.com http://*.daumcdn.ne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dapi.kakao.com/v2/maps/sdk.js?autoload=false&appkey=발급받은키"></script>

App.j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import './App.css';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function App() {
  
  //스크립트 파일 읽어오기
  const new_script = src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scrip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src = src; 
      script.addEventListener('load', () => { 
        resolve(); 
      }); 
      script.addEventListener('error', e => { 
        reject(e); 
      }); 
      document.head.appendChild(script); 
    }); 
  };
  
  useEffect(() => { 
    //카카오맵 스크립트 읽어오기
    const my_script = new_script('https://dapi.kakao.com/v2/maps/sdk.js?autoload=false&appkey=발급받은키');
    
    //스크립트 읽기 완료 후 카카오맵 설정
    my_script.then(() => { 
      console.log('script loaded!!!');  
      const kakao = window['kakao']; 
      kakao.maps.load(() => {
        const mapContainer = document.getElementById('map');
        const options = { 
          center: new kakao.maps.LatLng(37.56000302825312, 126.97540593203321), //좌표설정
          level: 3 
        }; 
        const map = new kakao.maps.Map(mapContainer, options); //맵생성
        //마커설정
        const markerPosition = new kakao.maps.LatLng(37.56000302825312, 126.97540593203321); 
        const marker = new kakao.maps.Marker({ 
          position: markerPosition
        }); 
        marker.setMap(map); 
      });   
    }); 
  }, []);

  return (
    <div className="App">
      <div id="map" className="map"/>
    </div>
  );
}

export default App;

App.css에 class를 추가합니다.

.map {
  width: 100%;
  height: 600px;
  align-items: center;
  justify-content: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medium;
  border-color: #D8D8D8;
}

 

실행화면

실행화면

지도의 좌표는 다음 URL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고맙게도 페이지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tablog.neocities.org/keywordposition.html

 

이상으로 리액트에 카카오맵을 추가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글의 동영상 강의입니다.

https://youtu.be/Dhb_i76FAM0

 

사이트를 개발하다 보면 "찾아오시는길" 같이 웹페이지에 지도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리액트로 개발할때 카카오 지도 페이지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우선 카카오 개발자 사이트에 접속하여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 합니다.

https://developers.kakao.com/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카카오 디벨로퍼스 사이트

메인 화면의 상단 메뉴 중 "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합니다.

내 애플리케이션

내 애플리케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선택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앱 아이콘, 앱 이름, 사업자명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앱 요약정보

저장이 완료되면 요약 정보 페이지에 생성된 "앱 키"가 보입니다.

플랫폼 메뉴의 "Web플랫폼 등록"을 선택합니다.

플랫폼
Web 플랫폼 등록

사이트 도메인을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Web 사이트 도메인

Web 사이트 도메인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삭제나 수정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완료되었으면 개발을 위한 사이트 설정은 끝났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